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스칼렛요한슨
- 젠데이아
- 제이든마텔
- 마동석
- 추락의해부
- 노매드랜드
- 가여운것들
- 클로이자오
- 이터널스
- 폴지아마티
- 아카데미
- MCU
- 오스카
- 픽사
- 제이콥트렘블레이
- 넷플릭스
- 지브리스튜디오
- 마블
- 톰홀랜드
- 티모시샬라메
- 스파이더맨어크로스더유니버스
- 디즈니+
- 악은존재하지않는다
- 바튼아카데미
- 오펜하이머
- 하마구치류스케
- 애니메이션
- 제임스건
- 크리틱스초이스
- 마블시네마틱유니버스
- Today
- Total
기록과 기억
피트 닥터 <소울>, 삶의 사소한 것들에서 행복을 얻는 사람들에 대한 위로.(2021-006) 본문
<소울>, 2020, 107분
감독 : 피트 닥터
* 대표작 : <몬스터 주식회사>, <업>, <인사이드 아웃>
출연 : 제이미 폭스, 티나 페이
1. 어릴 적부터 내가 잘하는 것은 무엇인가에 관한 생각이 많았다. 지금까지도 이에 대한 답은 찾지 못하였다. 하도 생각을 많이 하게 되니, 내가 잘하는 것은 '사색'이 아닐까 하는 생각이 어느 순간 들었다. 그 이후부터는 사색을 잘한다고 생각하기로 했다. 잘한다는 것보다는 좋아한다는 표현이 맞을 것 같다. 버스에서 음악을 보면서 바깥 풍경과 함께 하는 사색, 산책을 하면서 하는 사색, 맥주 한 캔과 좋은 음악을 곁들인 사색. 내 인생의 일부는 이렇게 사색들로 구성되어 있었다.
2. <소울>은 이러한 사색도 삶의 이유가 될 수 있음을 보여주는 작품이다. '일상의 소중함'이라는 다소 뻔한 주제를 담고 있지만, <소울>은 이를 설득력 있고 흥미롭고 독특하게 전달하여 이를 상쇄한다. 여기에는, 극의 주요한 설정 중 하나인 '불꽃'이 이에 큰 역할을 한다. 열정을 불태우도록 해주어 삶의 이유를 느끼게 해주는 '불꽃'을 통해, 삶의 목적이 멀리 있지 않음을 알려주기 때문이다.
3. 자신이 갈 길을 확실하게 정한 친구들이 정말 부러울 때가 있었다. 삶의 목표를 정하지 않는 것도 굉장히 뒤쳐지는 것만 같았다. 내 '불꽃'은 없는 것만 같고, 그렇기에 삶이 무의미하게 진행되고 있는 것 같은 기분. 하지만 영화는, 삶은 그 자체로 의미 있다는 점을 아름답게 전달한다. 영화의 주 소재인 재즈가 즉흥적인 것처럼, 삶도 즉흥적으로 구성되기 때문에. 거창하게 살지 않아도 삶은 언제나 의미 있기에. '사색', 혹은 '산책' 같은 일상적인 것들도 나에게 '불꽃'일 수 있기 때문에. 영화를 보는 내내 상당히 많은 위로를 받은 기분이다. 거대한 삶을 살기보다는, 역시 행복한 삶을 사는 것이 최고인 것 같다.
4. 이러한 스토리와 설정에서 뿜어져 나오는 매력 이외에도, 영화의 또다른 매력은 볼거리에 있다. <코코>에서 보여주었던, 형광색의 아름다운 사후세계와는 또 다른 매력을 가진 멋진 사후세계와 그 과정에서 보이는 기하학적인 이미지들이 특히 그렇다. 다차원적 우주를 이미지로 표현한 것과 같은 느낌이 인상적이었다.
5. 물론, 단점도 보이는 것이 사실이다. 주제가 약간 피상적이라는 점과, 이러한 주제를 관객들에게 주입시키려 하는 느낌 정도. 다만, 개인적으로 생각하는 픽사 최고의 명작들인 <인사이드 아웃>, <토이 스토리3>에 미치지 못할 뿐, 상당히 감명 깊게 느껴지는 작품이었다.
★★★★
- 2021년 2월 24일, 메가박스 파주출판도시 2관 에서
- 평점
- 8.7 (2021.01.20 개봉)
- 감독
- 피트 닥터, 켐프 파워스
- 출연
- 제이미 폭스, 티나 페이, 그레이엄 노튼, 레이첼 하우스, 앨리스 브라가, 리처드 아이오와디, 필리샤 라샤드, 도넬 로울링스, 퀘스트러브, 안젤라 바셋, 코라 샴포미어, 마고 홀, 데이비드 디그스, 웨스 스투디, 포춘 페임스터, 제노비아 샤로프, 준 스큅, 페기 플러드, 지니 티라도, 캐시 카바디니, 로니 델 카르멘, 에스터 채, 마커스 셸비, 피오트르 마이클, 에이버리 와델, 사키나 제프리, 칼럼 그랜트, 오추와 오기, 제이슨 페이스, 존 라젠버거
'영화 리뷰 > 2021년 관람작 리뷰' 카테고리의 다른 글
팀 버튼 <찰리와 초콜릿 공장>, 어린 시절의 상상을 어른이 되어 만나는 기분. (2) | 2023.05.11 |
---|---|
왕가위 <중경삼림>, 기억 속에 낭만으로 강하게 자리 잡는 작품.(2021-007) (0) | 2023.05.11 |
클레어 스캔론 <상사에 대처하는 로맨틱한 자세>, 두 주인공의 능청맞은 조합이 좋다.(2021-005) (0) | 2023.05.09 |
래리 찰스 <독재자>, 약간 불쾌할 수도 있지만 일단은 황당하게 재밌는.(2021-004) (2) | 2023.05.08 |
피터 웨버 <진주 귀걸이를 한 소녀>, 직접적인 표현 없이 관능적인 분위기가 넘실.(2021-003) (0) | 2023.05.07 |